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역사한자연구소

HOME > 연구소 > 역사한자연구소

문헌의 해석을 통한 역사해석에서 가장 기본이며 정확해야 할 부분은 한자에 대한 바른 의미 파악과 훈고이다. 문헌의 내용에 대한 신화적 해석, 위서 문제와 역사 왜곡에 대한 논란에는 사실상 한자의 이해 부족과 이 원인에 의한 배경지식 부족, 원문의 잘못 해석이 가장 큰 이유이다. 또한, 고서 해석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처럼 현대의 중국어 어순에 의해 해석하는 것은 올바른 해석법이 아니다. 한자의 다의성과 의미변천에 대한 의미의 변화를 잘 파악하고 호훈(互訓), 形訓(형훈), 音訓(음훈, 또는 聲訓), 또는 義訓(의훈) 등 훈고방법에 의한 체계적인 문헌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한자의 훈고를 위한 기본 의미 구조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이 4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A = B, C, D 구조
 A = B 이고 B = C 이면 A = C 구조
 B, C, D = A 구조
 A = BCD 구조

다의성의 예로 中에 대한 의미를 보면,

四方之央 중앙, 중심, 도읍지 [書·召誥] 王來紹上帝自服于土中 [註] 洛爲天地之中
안쪽 [十八史略] 沛中子弟
중간, 반(1/2) [列子, 力命] 得亦中亡亦中 여기서 亡者, 失也
마음 중심 [禮記, 文王世子] 禮樂交錯於中. (注) 中者, 心也
正德, 中庸 바른 덕 [中庸] 中者, 天下之大本也(중용은 천하지대본)
맞추다 [史記 周本紀] 射之百發百中(백발백중)

홍익재단 역사한자연구소는 출토자료와 기존 문헌에 대하여 훈고에 의한 체계적인 고전 해석과 이에 따른 고고학적 유적, 유물 제시, 유전체 분야의 고인골 DNA 게놈분석으로 이어지는 역사 증명의 중요 역할을 담당한다. 고한자에 대한 자형과 자의, 훈고에 의한 고문헌 자료의 바른 해석은 역사와 문화 지식 창출의 시작이고 동아시아 고대의 주체와 중심지, 주요 인물과 사건, 문화, 문명, 제도 등에 대한 구체적 이해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한자의 활용가치를 드높이고 문헌의 해석과 한자 활용 프로그램의 시스템화를 이루어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콘텐츠를 주도, 선도해 나간다. 역사고고학 연구와 한자학 통합 해석방법으로 새로운 고대 지식을 생산하고 가치로 발전시킨다.

동아시아 고대에 대한 기록에서 나타나는 또다른 중대한 문제는 진한시대에 이루어진 중원 중심의 고대 역사, 문화 만들기와 근대시기 일본의 왜곡된 고대사 편집도 한몫한다. 중국 한나라 때부터 기록된 동아시아 고대의 내용과 비교적 최근에 출토되는 사료들의 내용을 비교해 보면 그 내용이 많이 다름이 나타난다.

역사한자사업에서는 진한 이전을 기록한 출토 고한자, 다의성, 훈고, 문헌 재해석과 발굴원문 재편집 등으로 동아시아 역사의 바른 이해와 정립에 핵심 역할을 한다. 또한, 한자는 동아시아 인문학의 기본이고 정보의 핵심 가치이므로, 한자에 대한 가치 모델 개발과 콘텐츠, 교육 프로그램을 체계화하여 동아시아 한자 연구, 교육, 응용 콘텐츠에 의한 지식경영 프로그램으로 구현한다. 주요 사항과 내용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자료와 지식의 구조화로 AI에 의한 다국어 대화형 지능시스템으로 개발, 서비스한다.

연구인력 구성
- 출토 갑골, 금문, 목간, 죽간 또는 금석문 등에 대한 자형과 의미 분석, 해석 연구팀
- 고한자와 고대역사문화 주요한자에 대한 다의성 분석과 해석 적용 연구팀
- 고대사 배경지식 주요한자에 대한 의미분석과 해석적 적용 연구팀
- 고한자 해석과 고고학적 유적, 유물 구분, 추적 연구팀
- 출토자료와 전래문헌 기록간 비교, 검토, 정리팀
- 고한자 해석과 문헌기록 해석의 증명을 위한 유전체 분석 통합 연구팀
- 역사한자 체계화, 구조화 팀
- 역사한자의 AI에 의한 지능시스템 구조화 연구팀
보유자원
- 동아시아 고대 역사, 문화 원전 자료
- 동아시아 고대 역사, 문화 문헌 해석과 내용을 증명할 고인골 DNA 분석과 해석 자료
- 동아시아 역사, 문화 기록 원전 문헌 18000 종 이상 보유
- 고한자 해석 디지털 자전류 10종 이상 보유
- 고지리서
- 고대 기록 갑골문, 금문, 목간, 죽간 자료집
- 훈고 방법과 체계 지식
- 동아시아 고대 역사, 문화 디지털 콘텐츠화 기술
- 동아시아 고대 역사, 문화 증명 자료
연구수행체계

핵심 주제, 배경 지식, 해석을 위한 핵심 요소 정의, 문제해결 방법론 정의 → 주제별 선행연구 조사, 분석과 핵심 요소 기준 또는 방법론에 의한 정리, 해석 → 목표 달성을 위한 새로운 지식의 창출과 발굴, 연구 → 문제에 대한 통합적 해석과 콘텐츠화 → 핵심 문제의 해결을 위한 관련 전문가 집단의 다양성 유지, 핵심 사항에 대한 독립적인 연구와 분산화된 그룹에 의한 분석과 객관적 해석, 통합적인 해석과 정리에 의한 새로운 지식의 창출 → 집단지성 구축